본문 바로가기
잡다한 생활정보들/금융 및 경제 관리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계산 | 내 월급에서 실제 받는 돈은 얼마일까?

by 찾아가는 중 2025. 2. 18.
728x90
SMALL

1. 연봉과 실수령액의 차이점

연봉이 3,000만 원이라면, 한 달에 250만 원을 받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죠.
하지만 실제 내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이보다 적어요.
이유는 세금과 4대 보험료(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장기요양보험)를 떼기 때문이에요.

 

그렇다면, 2025년 연봉별로 한 달에 실제 받는 돈(실수령액)이 얼마인지 쉽게 알아볼까요?


2. 2025년 연봉별 실수령액 정리

(단위: 원, 부양가족 1명 기준, 비과세 20만 원 포함)

연봉                                                   세전 월급                               실수령액(월)                          세금 및 공제

24,000,000 2,000,000 1,814,110 185,890
30,000,000 2,500,000 2,251,650 248,350
40,000,000 3,333,333 2,997,757 335,576
50,000,000 4,166,666 3,583,977 582,690
60,000,000 5,000,000 4,270,280 729,720
70,000,000 5,833,333 4,956,583 876,750
80,000,000 6,666,666 5,642,887 1,023,780
90,000,000 7,500,000 6,329,190 1,170,810
100,000,000 8,333,333 7,015,493 1,317,840

💡 실수령액이란?
세금과 4대 보험료를 뗀 뒤 실제로 받는 월급이에요.


3. 세금과 공제 항목은?

실제 월급에서 빠지는 돈은 다음과 같아요.

국민연금: 월급의 4.5% (회사도 같은 금액 부담)
건강보험: 월급의 3.495% (장기요양보험 포함)
고용보험: 월급의 0.9%
소득세 + 지방소득세: 연봉과 가족 수에 따라 다름

소득이 높아질수록 세금도 늘어나기 때문에, 연봉이 올라가도 실수령액이 1:1로 오르진 않아요.


4. 실수령액을 정확히 계산하는 방법

위 표는 일반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한 것이며, 개인별로 차이가 있을 수 있어요.
✔️ 부양가족 수
✔️ 추가적인 비과세 혜택(식대, 교통비 등)
✔️ 회사에서 제공하는 복지 혜택

이런 요소들에 따라 실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죠.
👉 정확한 계산이 필요하다면, 잡코리아 연봉 계산기 를 이용해보세요!


5. 실수령액 높이는 꿀팁!

✔️ 비과세 항목 활용하기 → 식대, 자가운전보조금, 출산·육아 지원금 등 비과세 혜택 적극 활용
✔️ 연말정산 챙기기 → 교육비, 의료비, 신용카드 사용액 등 공제 항목 꼼꼼히 챙기기
✔️ 퇴직연금(IRP) 가입 → 세액공제 혜택으로 절세 효과 보기


연봉이 올라도 세금과 보험료를 고려해야 실수령액을 정확히 예상할 수 있어요.
내 연봉에서 실제로 받는 돈이 얼마인지 미리 계산해두면 소비 계획을 세우는 데 도움이 되겠죠?

 

728x90